전체보기(769)
-
턱을 통한 심리 파악
턱을 만지작거린다. -불안이나 고독한 기분을 전환시키려는 욕구의 발로이다. 철학자가 사색에 잠길 때는 대개 턱을 만진다. 또 배우들이 생각하는 것을 표현하는 연기를 할 때도 턱을 만진다. 인간은 심리적으로 나약해 있을 때 자기의 몸을 만지는 버릇이 있다. 이것을 동물 행동학자들은 '자기의 친밀성'이라고 한다. 즉, 불안하거나 고독한 마음을 달래려는 의사 표시인 것이다. 턱을 안으로 한껏 당긴다. -절대 복종의 의사를 나타내는 무언의 메시지이다. 턱의 움직임은 내밀거나 당기는 것으로 나타난다. 턱을 내미는 동작은 공격의 표시이고, 턱을 당기는 것은 방어의 표시이자 절대 복종의 의사 표시이다. 뭔가를 지시할 때 턱을 든다. -이러한 사람은 자기 주장이 강한 사람으로서, 자신의 주장이 깨끗이 통과될 것을 믿고..
2016.02.07 -
입을 통한 심리 파악
말을 하면서 손으로 입을 가린다. -상대를 경계하면서 본심을 감추려는 행위이다. 즉 말하는 기관인 입을 상대가 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자신을 은폐시키면서 방어자세를 취하는 것이다. 여성이 손을 입에 대고 웃는다. -내성적인 여성으로서, 성적인 욕구를 상대가 눈치채지 못하도록 하려는 행위이다. 손을 입에 대고 묵묵히 있는다. -더 이상 상대와 대화하고 싶지 않다는 의사 표시이다. 입을 가리는 동작에는 숨긴다는 의미 외에 거절의 뜻도 있다. 큰소리로 계속 떠드는 상대에 대해 고개를 돌리면서 입을 가리는 동적은 빨리 끝내라 는 무언의 신호이다. 말을 할 때 주먹을 갖다 대면서 자꾸 헛기침을 한다. -근심이 있다는 뜻이다. 불안이나 근심 때문에 목구멍에 점막이 생긴 경우이다. 설령 실제로 점막이 생기지 않더라도..
2016.02.07 -
코를 통한 심리 파악
턱을 조금 치켜들고 코를 내민다. -거만한 마음의 표시이다. 코는 얼굴의 중심부로서 지성의 심벌이라고 한다. 또한 코는 그 사람의 성격을 나타내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코를 내미는 행위는 자신의 영역을 넓히려는 마음의 표시이며, 그것이 타인에게는 건방지거나 거만하게 비치는 것이다. 상대에게 콧구멍이 보일 정도로 코를 치켜든다. -이러한 태도는 상대를 가벼이 여긴다는 증거이다. 머리를 뒤로 젖히면서 코를 상대로부터 멀리한다. -혐오와 거부의 표시이다. 가령 한 남자가 여자에게 사랑을 고백하는데 그녀가 이런 동작을 하고 있다면 그것은 거절의 표시이다. 이야기 도중에 코를 만지작거린다. -부정적인 의사 표시이다. 가령 무슨 부탁을 하고 있을 때 상대가 코를 만지작거린다면 그것은 거절의 표시이다. 이것은..
2016.02.07 -
눈을 통한 심리 파악
대화할때 상대를 보지 않는다 -뭔가 숨기려는 마음이 있는 경우이다. 상대에게 시선을 던지는 시간이 30퍼센트 이하이면 그 사람은 무언가 감추고 있다. 대화할때 시선을 이리저리 불안정하게 돌린다.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고 불성실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어떤 민완 형사의 말에 의하면 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자백을 하기 전에 눈동자를 이리저리 돌리면서 가능한 한 시선이 마주치는 것을 피한다고 한다. 이것은 심리적으로 안정되지 않고 떳떳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대를 곁눈질로 쳐다본다. -이야기의 내용에 불만이나 의문을 품고 있다는 증거이다. 시선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시선의 방향도 그 사람의 심리 상태를 나타낸다. 남의 부당한 소리를 할 때 대다수의 사람들은 곁눈질을 하는데, 그것은 정면으로 맞서지는 못하지만 못마땅하..
2016.02.07 -
머리를 통한 심리 파악
머리를 긁적인다. -불만이나 난처함, 또는 수줍음이나 자기 혐오 등의 솔직한 표현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실수를 했을 때 머리를 긁적이며 겸연쩍게 웃는다. 당황하거나 수줍음을 타거나 자기의 실수를 인정할 때 이런 행동이 자연스럽게 나오는 것이다. 자신의 머리를 쓰다듬는다. -정신적으로 긴장되어 있거나 머릿속으로 뭔가를 재빨리 생각하고 있다는 뜻이다. 면접시험을 앞두고, 혹은 중요한 일로 누군가와 담판을 지어야 할 때 대개의 사람들은 자신의 머리를 무의식중에 쓰다듬는다. 이것은 긴장을 완화시키는 심리와 자기를 흐트러뜨리지 않으려는 행동이다. 또 머릿속에 뭔가 묘안이 떠오를 때도 같은 행동을 취하게 된다. 자기의 머리를 툭툭 친다. -머리를 써서 생각하고 있음을 강조하는 경우이다. 상식적인 문제도 생각이 잘..
2016.02.07 -
감정에 호소 하는 방법
수 많은 인간심리의 약점 가운데에서도 가장 모든 사람에게 공통되고 있는것은 감정에 나약하다는 점이다. 위대한 정치가이건 사업자이건, 심지어 잔인하고 냉혹해 보이는 마피아나 조직폭력배라도 그점에 있어서 보통 인간과 다를 바가 없다 특히 논리적이 못되는 사람이 이론적이며 에고이스트인 사람보다 일반적으로 인정에는 약한 듯 하다. 독심술에서는 그러한 인간심리의 맹점 약점을 찌름으로써 상대방의 마음을 알아내야한다. 이를테면 비지니스나 세일즈를 위한 만남에서도 제시하는 내용이나 결과가 상대에게 꼭 필요하고 대안이 없는 선택 할수 밖에 없는 아이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방이 그것을 받아들이여 하지 않는 경우가 흔히 있다. 더구나 상대방은 고집쟁이나 성질이 더러운것도 아니다 이런 경우는 인간이 감정의 동물임을 증명하..
2016.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