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769)
-
스트레스를 이기는 명약
정신의학에서는 ‘스트레스의 大家’하면 한스 셀리(hans seyle, 내분비학자)라는 분을 듭니다. 이 분은 1958년 스트레스 연구로 노벨 의학상을 받았습니다. 캐나다 분인데, 이 분이 고별 강연을 하버드대학에서 했습니다. 제가 그때 마침 그 대학에 있어서 정말 아주 감동적인 강연을 들었습니다. 하버드 강당에는 백발의 노교수들이 빽빽이 들어섰습니다. 강연이 끝나자 기립 박수도 받았습니다. 강연이 끝나고 내려가는데 웬 학생이 길을 막습니다. “선생님, 우리가 스트레스 홍수 시대를 살고 있는데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비결을 딱 한 가지만 이야기해 주십시오.” 그러자 이분은 딱 한 마디를 대답했습니다. “Appreciation!” 감사 감사하며 살라는 그 말 한 마디에 장내는 물을 끼얹은 듯 ..
2016.04.06 -
세계적인 소설가 마크트웨인의 명언 10가지
1.사람은 진정한 자신의 진가를 깨닫지 못하면 스스로에게 만족할 수 없다. 2.슬픔은 혼자서 간직할 수 있다. 그러나 기쁨이 충분한 가치를 얻으려면 기쁨을 누군가와 나누어 가져야 한다. 3.어른이나 아이 할 것 없이, 어떤 물건을 몹시 탐내도록 만들려면, 그것을 손에 넣기 어려운 것으로 만들면 된다. 4.우리들의 죽음 앞에서는 장의사마저도 우리의 죽음을 슬퍼해 줄만큼 훌륭한 삶이 되도록 힘써야 한다. 5.인간은 얼굴을 붉히기도 하며, 혹은 붉힐 필요가 있는 유일한 동물이다. 6.좋은 책이 있어도 읽지 않는 사람은 그 책을 읽지 못하는 사람보다 나을 것이 없다. 7.좋은 친구와 좋은 책, 그리고 살아있는 양심이야말로 가장 이상적인 생활이다. 8.친구의 본래 임무는, 당신의 형편이 나쁠 때 당신을 편들어..
2016.04.06 -
걱정을 없애는 방법
평소 원하는 것이 이뤄지면 무슨 걱정이 있을까 하지요. 하지만 막상 소원하던 일을 이루고 나면 새로운 욕구, 욕망, 바람이 또 생깁니다. 그게 이뤄지지 않으면 또다시 괴로움이 나를 괴롭혀요. 욕구를 채워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면 끝이 없어요. 유일한 문제 해결 방법은 적당한 선에서 만족할 줄 아는 거예요. 아이가 반에서 10등을 하면 10등 밖에 못했다고 속상해하지 말고 꼴찌 하는 애도 있는데 10등이면 잘한 거라고 마음을 내면 괴롭지 않게 됩니다. - 법륜스님의 희망편지 -
2016.04.05 -
삶의 가장 아름다운 시간
가장 낭비하는 시간은 방황하는 시간이고 가장 교만한 시간은 남을 깔보는 시간이고 가장 자유로운 시간은 규칙적인 시간이고 가장 통쾌한 시간은 승리하는 시간이고 가장 지루한 시간은 기다리는 시간이고 가장 서운한 시간은 이별하는 시간이고 가장 겸손한 시간은 자기분수에 맞게 행동하는 시간이고 가장 비굴한 시간은 자기 변명을 늘어놓는 시간이고 가장 불쌍한 시간은 구걸하는 시간이고 가장 가치 있는 시간은 최선을 다한 시간이고 가장 현명한 시간은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한 시간이고 가장 분한 시간은 모욕을 당한 시간이고 가장 뿌듯한 시간은 성공한 시간이고 가장 달콤한 시간은 일한 뒤 휴식 시간이고 가장 즐거운 시간은 노래를 부르는 시간이고 가장 아름다운 시간은 사랑하는 시간이다. - 옮겨온 글 -
2016.04.05 -
테레사 수녀가 들려주는 지혜 7가지
1. 그 사람을 존중하라. 상대방이 어떤 사람이든 그 사람을 고유의 인격체로서 존중해주어야 마음을 열 수 있다. 2. 먼저 그 사람의 입장에 서보라. 무엇이든 나의 마음을 전달하기 전에, 그 사람이 어떻게 받아들일까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그러면 그 사람이 원하는 것과 내가 주고자 하는 것을 일치시킬 수 있다. 3.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라. 일시적인 관심은 무관심보다 더 큰 상실감을 준다. 한두 번 존중하고 배려해 주다가 참지 못해 포기하거나 관심을 꺼버리는 것은 상처만 남길 뿐이다. 4. '그 사람' 자체에 감사하라. 그 사람이 나에게 무엇을 해주었거나 무엇이 되어주었기 때문이 아니라, 단지 내 곁에 존재해주었다는 이유만으로 내 삶은 더 풍부해질 수 있다. 5. 그 사람을 자세..
2016.04.05 -
삶의 디딤돌
성장을 위한 디딤돌 살다 보면 힘들고 고통스러울 때가 있습니다. 그때는 누구나 다 자신의 꿈을 포기하고 싶은 유혹을 느낍니다. 시련을 피하려 들면 고통은 더욱 커지고 결국 외부 환경이나 자신의 한계에 무릎을 꿇게 됩니다. 시련은 영혼의 성장을 위한 디딤돌입니다. 시련을 극복하면 위기는 인생의 새로운 기회가 됩니다. 어려움을 피하지 않고 당당하게 부딪칠 때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용기와 지혜가 나옵니다. 힘이 들 때면 스스로 자신의 어깨를 다독이며 "괜찮아", "너는 할 수 있어"라고 말해 보십시오. 우리의 영혼은 다른 사람이 아닌 자기 자신의 위로에 가장 큰 힘을 얻습니다. - 일지희망편지 -
2016.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