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769)
-
상황을 긍정적으로 보는 버릇
존재 자체에는 좋고 나쁨이 없습니다. 똥이 방에 있으면 오물이라고 하고 밭에 있으면 거름이라고 합니다. 돌멩이가 밭에 있으면 쓰레기라고 하고 공사장에 있으면 재료라고 합니다. 우리가 놓인 상황에도 행과 불행이 없습니다. 어떻게 인식하느냐의 문제일 뿐입니다. 남편 때문에 못살겠다고 하지만 혼자 사는 사람에게는 남편 있다는 자랑처럼 들립니다. 직장 생활이 힘들지만 직장 없는 사람에게는 직장이 있는 것만으로도 부럽습니다. 인생은 부정적으로 보면 불행하고 긍정적으로 보면 행복합니다. 자꾸 상황을 부정적으로 보는 버릇을 긍정적으로 보도록 바꿀 필요가 있습니다. - 법륜스님 희망편지 -
2016.04.06 -
꿈 VS 현실
꿈을 찾는다고 현실을 등한시하고 미래의 행복을 위해서 좋아하는 것만 찾아다닌다면 인생을 허황되게 살기 쉽습니다. 그렇다고 현재의 밥벌이에만 급급하다보면 미래에 대한 희망이 없겠지요. 그래서 우리는 이상을 좇을 것인가 현실을 중요시할 것인가를 놓고 항상 갈등합니다. 그런데 이상과 현실은 모순관계에 있지 않습니다. 두 발은 현실에 딱 딛고 서서 두 눈은 이상을 향해서 한 발씩 한 발씩 나아가면 됩니다. 좋은 미래는 막연히 기다린다고 오는 게 아니에요. 연구하고 도전해가는 과정에서 꿈꾸던 미래를 현실로 만들어가는 겁니다. - 법륜스님 희망편지 -
2016.04.06 -
성공은 긍정적인 사고가 필수다
“내 좌우명은 '긍정적인 정신'이라며 평민이었던 나폴레옹이 황제에 오를 수 있었던 것도, '불가능한 것은 없다'는 긍정적 사고가 기회를 만들어냈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한 사람! 그는 하림그룹 김홍국 회장이다. 열한 살 때 할머니가 사다 준 병아리 10마리를 키워 내다 판돈으로 양계업을 시작하였고 연 매출 6조 9000억 원대 회사를 일구고 닭·돼지 축산·가공업은 물론 국내 최대 사료기업을 일궜다 지난해엔 1조 500억 원에 팬오션을 인수해 해운업·곡물 유통업에도 진출했다 그는 말한다. "누구에게나 기회는 똑같이 주어지지만, 생각의 차이 때문에 기회를 못 잡는 것입니다 기회를 잡는 사람들은 현상만 보지 않고 미래를 내다보지요"라고. "매일 15도(度)의 경사 길을..
2016.04.06 -
성공을 원하면 주체적으로 살아라
가족, 친구, 직장동료들과의 관계 속에서 언제나 중심을 잃지 않고 주인으로 살아가야 합니다. 옷을 입을 때는 옷걸이로 전락하지 말아야 하고 돈을 벌더라도 돈의 노예가 되어서는 안 됩니다. 인간관계에서 갈등과 분쟁이 일어나는 근본 원인은 서로에 대한 소유관념이나 집착 때문입니다. 부부관계에서도 '내 남편', '내 아내'라는 울타리를 쳐놓고 상대가 그 울타리 안에만 있기를 바라니 싸우는 것은 필연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서로를 자유인으로 존중하고 예의를 갖추면 우리가 느끼는 갈등의 상당 부분이 사라집니다. 매달리는 마음은 주체를 상실한 데서 일어납니다. 원망하는 마음이나 질투심은 종속적인 삶에서 비롯되는 것입니다. 주체적인 사람은 원망이나 질투심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 &..
2016.04.06 -
성공하기 위해서는 혀를 잘 다스려라
제대로 침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말을 하지 않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만약 그것만으로 족하다면 인간과 짐승이 서로 다를 게 무엇이겠는가. 자기 입안의 혀를 다스릴 줄 아는 것, 혀를 잡아둘 때나 자유롭게 풀어줄 때를 정확히 감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혀는 불과 같습니다. 잘 쓰면 더할 수 없이 요긴하지만 잘못 다루면 집을 태우고 패가망신합니다. 혀는 칼과 같습니다. 잘 쓰면 작품이 되지만 잘못 다루면 사람을 크게 다치게 합니다. 혀를 다스리는 첫 단계가 침묵입니다. 제대로 침묵하는 기술에서부터 혀는 슬기로워집니다. - 조제프 앙투안 투생 디누아르의 《침묵의 기술》중에서 -
2016.04.06 -
자립심과 이타심을 가져라
대초원에서의 삶은 단순한 필요에 의한 것일지라도 모두 어느 정도의 노력으로 얻어진 것들이었다. 내 인생에서 그 시절은 배우고 살아가는 데 필요한 가치와 자립심을 배우는 무척 중요한 시기였다. 자립심을 배운 사람은 이타심을 배운 것과 다름없다. 역사는 교훈의 장이다. 리더는 자신의 역할을 해내고 이타심으로 책임을 다해야 한다. 내가 먼저 행복해야 다른 사람도 행복하게 할 수 있습니다. '내가 먼저 행복해지는 것'이 우선입니다. 그러나 나만 행복하고 다른 사람들은 모두 불행하다면 나의 행복도 의미가 없어집니다. 그래서 '자립심'을 넘어선 '이타심'이 필요합니다. 한 살이라도 어릴 때 이 원리를 배워야 지도자가 될 수 있습니다 - 조셉 마셜3세의《혼자의 힘..
2016.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