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안드로이드 앱 만들기 - 액티비티(Activity) 뷰(View) 구조

2018. 1. 23. 11:59안드로이드

반응형


#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안드로이드 앱 만들기 - 개발 환경 구축

#2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로 안드로이드 앱 만들기 - 개발 디렉토리와 파일 구조



안드로이드에서 화면을 출력하려면 액티비티(Activity)라는 컴포넌트를 만들어야 하고, 이 액티비티가 런타임 때 실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액티비티(Activity)가 실행되었다고 화면에 무언가가 나오지는 않는다. 액티비티(Activity) 자체는 앱의 실앵 단위인 컴포넌트이므로 액티비티만 실행하면 빈 화면만 보인다. 따라서 액티비티에 버튼, 문자열, 이미지 등을 출력해주어야 하는데, 이런 클래스를 안드로이드에서는 뷰(View) 클래스라고 한다.



결국, 안드로이드 UI 프로그램은 다양한 뷰를 화면에 출력하는 구조이다.



그렇다면 액티비티(Activity)에서 어떻게 뷰(View)를 출력 할 수 있을까 ? 이 기능을 제공하는 함수가 setContentView()이다. 이 함수는 다음 두가지 형태로 사용 할 수 있다.


■ public void setContentView(View view)

■ public void setContentView(int layoutResID)


만약 어떤 액티비티가 실행되었는데 액티비티 내에서 화면 출력을 위한 setContentView() 함수를 한 번도 실행하지 않았다면, 에러가 발생하지는 않지만 화면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는다.


즉, 액티비티(Activity)가 화면이고 액티비티 화면의 내용이 뷰(View)라고 보면 된다. 다음 그림처럼 말이다







반응형